랑쓰노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랑쓰노트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랑쓰노트
    • Frontend
      • HTML5
      • JS-자바스크립트
      • Vue
    • Backend
      • JAVA-자바
      • 서버프로그래밍
    • DevOps
      • Git
      • DB-데이터베이스설계
    • 공-부
      • UI | UX 스터디
      • 백준 알고리즘
      • Homework
    • 리-뷰
      • BOOK

검색 레이어

랑쓰노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DevOps/DB-데이터베이스설계

  • [DB] 데이터 모델링 - 속성(Attribute) 란?

    2021.05.26 by 사랑짱

  • [DB] 데이터 모델링 - 식별자(Identifier) 란?

    2021.05.26 by 사랑짱

  • [DB] 데이터 모델링 - ERD 사용하기

    2021.05.25 by 사랑짱

  • [DB] 데이터 모델링 - ERD 실습 문제

    2021.05.25 by 사랑짱

  • [DB] 데이터 모델링 - 관계(Relationship)란?/ EER 모델링이란?

    2021.05.25 by 사랑짱

  • [DB] 데이터 모델링 - 엔티티(Entity) 란?

    2021.05.25 by 사랑짱

  • [DB] 데이터 모델링의 과정

    2021.05.25 by 사랑짱

  • [DB] 데이터 모델링이란?

    2021.05.25 by 사랑짱

[DB] 데이터 모델링 - 속성(Attribute) 란?

속성(Attribute)이란? -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 - 엔티티의 성질, 준류, 수량, 상태, 특성 등을 나타내는 세부항목 속성의 유형 - 기본속성 : 원래 가지고 있는 속성 - 설계속성 : 시스템의 효율성을 위해 임의로 추가되는 속성 (EX. 일련번호, 코드 등) - 파생(추출 속성) : 다른 속성으로부터 계산이나 변형되어 생성되는 속성 (EX. 나이) 속성의 정의 ◇ 엔티티가 관리할 특성인가? - 엔티티에 독립적으로 있어야 하는 속성여야 한다. ◇ 의미적으로 독립적인 최소단위인가? - 속성을 멀티 파트가 되어서는 안된다. ◇ 하나의 값만을 가지고 있는가? - 하나의 속성은 한 시점에 한 개의 값만을 가져야 한다. - 하나의 속성이 시간에 따라 여러 개의 값을 가지면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면 새로..

DevOps/DB-데이터베이스설계 2021. 5. 26. 17:59

[DB] 데이터 모델링 - 식별자(Identifier) 란?

식별자(Identifier)란? - 각각의 인스턴스를 유일(Unique)하게 구분해 낼 수 있는 속성 - Entity는 인스턴스의 유일성 식별을 보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식별자를 반드시 가져야 한다. - 식별자는 검색이나 조인 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식별자(Identifier)의 특성 - 한번 설정되면 불변 (안정성) - 최소한의 속성집합 (최소성) - 복잡한 의미를 내포하지 않음 (직곽적) - 생성과 동시에 부여 (필수적) - 접근 가능 (보안성) - Not Null (필수적) 식별자(Identifier)의 유형 ◆ 대표성 여부에 따른 구분 - 주식별자 : 엔티티의 대표성을 나타내는 유일한 식별자(PK Index로 생성) - 보조식별자 : 주식별자를 대신하여 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자(Uniq..

DevOps/DB-데이터베이스설계 2021. 5. 26. 10:31

[DB] 데이터 모델링 - ERD 사용하기

ERD 영어 약자 그대로 '​존재하고 있는 것(Entity)들의 관계(Relationship)을 나타낸 도표(Diagram)' 이다. 1. 관계 매트릭스(Matsix) 고객 부품 주문 창고 고객 - - 요청자료서 - 부품 - - 구입받아 저장되어 주문 요청되어 발주되어 - - 창고 - 저장소로서 - - 2. 관계정의서 - 관계에서 핵심요소 세가지인 방향, 관계차수, 선택성(옵션, 필수)를 정리한 것 기준 엔티티 관계형태(1 :1 / 1 : M / M : N) 선택성 관련 엔티티 회원 한 회원은 여러 번의 주문을 할 수 있다. 주문은 한 회원에 의해 주문된다. 선택 필수 주문 주문 각 주문에는 여러 개의 주문목록이 있다. 각각의 주문목록을 하나의 주문내용이다. 필수 필수 주문목록

DevOps/DB-데이터베이스설계 2021. 5. 25. 18:58

[DB] 데이터 모델링 - ERD 실습 문제

실습1. 학적과 수강신청 ▷ 학적과에는 각 과목을 강의하는 강사, 등록한 학생, 강의가 이루어지는 시간(여러개의 값) 및 장소 등의 데이터가 유지된다. ▷ 한 강사가 여러 개의 과목을 강의할 수 있으며, 각 과목과 학생 간에는 학점이 부여된다. ▷ 과목에 대해서는 과목번호, 과목명 등의 정보가 유지되어야 한다. ▷ 강사에 대해서는 강사번호, 이름, 나이, 성별 등의 정보가 유지되어야 한다. ▷ 학생에 대해서는 학번, 이름, 주소 등의 정보가 유지되어야 한다. ◆ 문제 풀이 먼저 문제 속에서 개념을 추출해보면 강사, 과목, 학생 크게 세가지가 보인다. 또한 강의가 이루어지는 시간이 여러 타임이 있고,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은 학점을 부여받는다. 세가지 엔티티 간의 관계에 대해 정리를 해보자. 강사 - 과목 ..

DevOps/DB-데이터베이스설계 2021. 5. 25. 18:56

[DB] 데이터 모델링 - 관계(Relationship)란?/ EER 모델링이란?

관계(Relationship)란? - 사전적 개념 : 상호 연관성이 있는 상태 - DB 관점 개념 : 두 엔티티 사이의 논리적인 관계(업무적인 연관성) ◆ 식별 / 비식별 관계 - 식별 관계 : 부모테이블의 기본키 또는 유니크 키를 자식 테이블이 기본키로 사용하는 관계(실선) - 비식별 관계 : 부모테이블의 기본키 또는 유니크 키를 자식 테이블이 외래키로 사용하는 관계(점선) 부모 테이블 : 의존하지 않는 테이블 자식 테이블 : 의존하는 테이블(스스로 존재할 수 없는 테이블) ◆ 관계선택사양(Optionality) - Mandatory(필수관계) : 반드시 두 엔티티의 모든 인스턴스 간에 관계가 존재 - Optional(선택관계) : 값을 가질 수도 있고 가지지 않을 수도 있음. 관계차수(Cardinal..

DevOps/DB-데이터베이스설계 2021. 5. 25. 11:08

[DB] 데이터 모델링 - 엔티티(Entity) 란?

Entity란? - 업무에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것 - 동일한 성격의 엔티티의 인스턴스(테이블의 행)들을 보관하는 논리적인 저장 장소 -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단위 Entity의 특징 - 반드시 업무에 필요하고 관리해야하는 정보여야 한다. -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인스턴스들(ROW)의 집합이여야 한다(두개 이상의 인스턴스). - 유일한 식별자에 의해 각 인스턴스들을 식별 가능해야 한다. - 업무 프로세스에 의해 이용되어야 한다. - 반드시 속성(Attribute)이 있어야 한다. - 다른 엔티티와 최소 한 개 이상의 관계가 있어야 한다. → 이러한 특징을 반영하여 엔티티를 도출해야 한다. Entity의 이름 짓는 방법 - 약어보다 명확한 단어 사용(Full Name) - 논리적으로 사물을 반..

DevOps/DB-데이터베이스설계 2021. 5. 25. 11:00

[DB] 데이터 모델링의 과정

데이터 모델링의 과정은 크게 업무파악, 설계, 데이터베이스 구현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설계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포함하여 5단계로 나누어 표현해보았다. ① 업무파악 ② 개념 모델링(개념 스키마 설계) ③ 논리 모델링(DBMS에 따라 논리적 스키마 설계) ④ 물리 모델링(실제 시스템에 구현) ⑤ 데이터 베이스 구현 각 과정에 대해 정리해보자. 1단계. 업무파악 - 의뢰한 사람의 요구를 파악/기획서 작성 - UI(User Interface) 작업 -> 요구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 도구 - 이 과정에서 컴퓨터가 해야 할 일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기획/구현해야함. - 컴퓨터 자체의 문제 해결 (EX. DB프로그램을 만드는 경우) - 현실의 문제 해결 (EX. 인터넷 뱅킹 시스템, 아이디어 구현 등)..

DevOps/DB-데이터베이스설계 2021. 5. 25. 08:15

[DB] 데이터 모델링이란?

모델이란? - 일반적 의미 : 어떤 목적을 가지고 모방한 것 - 개발적 의미 : DB에 정보를 담는 것 모델링의 3가지 관점 데이터 관점(DATA, WHAT) - 업무가 어떤 데이터와 관련이 있는지 또는 데이터 간의 관계는 무엇인지 모델링하는 방법 프로세스 관점(PROCESS, HOW) - 업무에서 실제 하는 일은 무엇인지 또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모델링하는 방법 상관 관점(INTERACTION) - 업무가 처리하는 일의 방법에 따라 데이터는 어떻게 영향을 받고 있는지 모델링하는 방법 데이터 모델링 - 문제를 현실로 뜯어내서 추상화 과정을 거쳐 담는 것 - 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복잡한 현실을 컴퓨터에 옮겨 담을 수 있게 한 것 (어떤 데이터가 존재하며, 업무에 필요한 정보는 무엇인지 분석..

DevOps/DB-데이터베이스설계 2021. 5. 25. 08:0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랑쓰노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