랑쓰노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랑쓰노트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랑쓰노트
    • Frontend
      • HTML5
      • JS-자바스크립트
      • Vue
    • Backend
      • JAVA-자바
      • 서버프로그래밍
    • DevOps
      • Git
      • DB-데이터베이스설계
    • 공-부
      • UI | UX 스터디
      • 백준 알고리즘
      • Homework
    • 리-뷰
      • BOOK

검색 레이어

랑쓰노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DevOps

  • [GitHub] 깃허브 토큰(Token)생성하는 방법

    2021.09.16 by 사랑짱

  • [Git] 원격저장소 Github

    2021.09.16 by 사랑짱

  • [Git] Git 브랜치란?

    2021.09.13 by 사랑짱

  • [Git] Git 사용하기

    2021.09.13 by 사랑짱

  • [Git] Git-깃이란?

    2021.09.13 by 사랑짱

  • [SQL]

    2021.07.06 by 사랑짱

  • [SQL]

    2021.07.02 by 사랑짱

  • [SQL]

    2021.07.01 by 사랑짱

[GitHub] 깃허브 토큰(Token)생성하는 방법

2021년 8월 13일부터 GitHub는 Git 작업을 인증할 때 비밀번호 대신 Token을 사용하도록 변경되었다. 위와 같은 사항이 변경된지 이틀 지난 시점에서 바뀐 줄도 모르고, 비밀번호를 수없이 입력했던 슬픈 경험이 떠올라 다시 한번 토큰 생성에 대해 정리해놓으려고 한다. Step1. GitHub 로그인 Step2. Settings 설정 메뉴 클릭 Step3. Developer Settings 설정 메뉴 - 개발자 설정 클릭 Step4. Personal access tokens 개발자 설정 메뉴 - 개인 액세스 토큰 클릭 Step5. Token 관련 세부사항 체크 및 입력 Step6. 토큰 생성 완료!! ※ 주의!! 새로 생성된 token은 보안상의 이유로 해당 페이지를 벗어나면 다시 볼 수 없으므..

DevOps/Git 2021. 9. 16. 00:35

[Git] 원격저장소 Github

◆ 원격저장소 Github - 깃허브(Github)는 분산 버전 관리 툴인 깃(Git)를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웹호스팅 서비스 - "버전관리"와 "협업"을 위한 코드 웹 호스팅 플랫폼으로 언제, 어디서나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 ※ 원격저장소란? - 지역저장소가 아닌 컴퓨터나 서버에 만든 저장소 - 지역저장소와 연결되어 '백업', '협업'에서 중요한 역할 ◆ Github 이용하기 Step 1. Create a new repository - 깃허브에 원격저장소 만들기 Step 2. 지역저장소를 원격저장소에 연결하기 - 도스창에 명령어 입력(원격저장소 하나당 한번만 해주면 됨) $ git remote add origin 복사한 주소 붙여넣기 (깃허브 저장 주소를 origin으로 줄여서 ..

DevOps/Git 2021. 9. 16. 00:10

[Git] Git 브랜치란?

◆ git branch - 하나의 버전관리를 수행하는 흐름을 의미 - branch를 통해 버전관리가 가능 ※ 이전 저번에서는 'master'가 기본 브랜치 이름이였으나, 현재는 'main'으로 변경되었음. 1. 새로운 브랜치 생성 $ git branch 2. 기존 브랜치 삭제 $git branch -d 3. branch간 이동 $git switch 4. 현재 전체 branch목록과 내가 사용중인 branch확인 $git branch ◆ 브랜치의 병합(Merge) Step 1. 병합될 브랜치와 병합의 기준이 되는 브랜치 구분 예 : 기준 브랜치(main), 병합될 브랜치(apple) Step 2. 기준 브랜치로 이동 $ git switch main Step 3. 병합될 브랜치를 기준브랜치에 병합 수행 $ ..

DevOps/Git 2021. 9. 13. 21:22

[Git] Git 사용하기

◆ Git 사용하기 1. user.name, user.email 등록(단 한번만 실행) 2. init.defaultbranch 등록 3. CMD창에서 프로젝트에 사용될 디렉토리 지정 1) git init "나 이 디렉토리에서 버전관리할거야~~" - 깃의 저장소 초기화를 의미 - 프로젝트를 진행할 디렉토리를 깃에게 알려주는 기능 -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는 것은 버전관리가 필요하다는 것! => 실행결과 : '.git' 디렉토리 생성 / 모든 버전정보가 저장 2) git status "지금 이런 상태야~~" - git의 상태를 의미 - 버전관리를 진행하고 있는 디렉토리 정보 3) git add "이제 버전관리 시작해볼까~~" - 추적해야할 디렉토리를 명확하게 지정하여 스테이지에 올리는 기능 - 프로젝트 작업을 ..

DevOps/Git 2021. 9. 13. 00:58

[Git] Git-깃이란?

Git에 대해 알아보자!! 1) git이란? - 형상관리시스템(Version Control System) - "파일의 이름을 더럽히지 말아라!" >>>> 파일의 이름을 유지하되 파일 안에 있는 "변경된 내용"들은 컴퓨터가 관리한다. ※ 형상관리 : 변경사항을 체계적으로 추적, 통제한다는 것!! 버전과 변화는 다르다! 버전이란 작업이 완결된 상태이며, 의미있는 변화를 의미한다!! ★★★ 버전단위에 대해서는 git을 사용하면서 생각해보자! 2) git의 효용가치 - 소스코드 백업(Backup) - 이전 상태로 회복(Recovery) - 다른 사람들과의 협업(Collaboration) 3) 지역저장소와 원격저장소 ※ 지역저장소(Local Repository) : 우리가 사용하는 PC - 버전관리 대상파일의 버..

DevOps/Git 2021. 9. 13. 00:48

[SQL]

DevOps/DB-데이터베이스설계 2021. 7. 6. 07:23

[SQL]

DevOps/DB-데이터베이스설계 2021. 7. 2. 19:36

[SQL]

DevOps/DB-데이터베이스설계 2021. 7. 1. 21:3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TISTORY
랑쓰노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