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end/JAVA-자바
JAVA 2. 변수와 자료형
사랑짱
2021. 5. 20. 07:32
◆ 변수란?
-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에 붙이는 이름
- 하나의 값만 저장 가능
◆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Step 1. 변수선언
-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
- 이 과정에서 저장되는 값의 타입(자료형)과 이름이 결정
<예시>
int x ; // x : 변수명, int : 타입
double y ; // y : 변수명, double : 타입
Step 2. 변수 초기화
- 변수에 최초로 값이 저장될 때 변수가 생성 (변수 초기화)
- 변수에 값을 저장할 때 대입연산자(=)를 사용
(오른쪽의 값을 왼쪽의 변수에 저장한다는 의미)
<예시>
int score; // 변수선언
score = 90; // 변수초기화, 초기값 : 90
Step 3. 변수 생성
- 변수가 정의(선언+초기화) 되면 변수가 생성
Step 4. 변수 사용
- 변수가 정의되어야 사용할 수 있으며 초기화된 변수의 값을 읽거나 변경하는 것을 의미
- 변수의 값을 이용하여 출력문, 연산식을 수행
◆ 변수의 유효범위
- 변수가 생성된 블록 내에서 사용 가능(+ 사용자 정의블록)
따라서 { } 블록을 생략하는 것을 지양하여 변수의 유효범위를 정확하게 표시해야한다!!
◆ 리터럴(Literal)
- 소스 코드 내에서 직접 입력된 변수의 초기값(변할 수 없는 순수한 값).
◆ 자료형(데이터의 유형)
1. 기본자료형 : 변수의 값을 직접 저장하는 타입
1-1. 정수 자료형
- 양수, 음수, 0을 나타내는 데 사용하는 자료형
(기본 : int 타입 사용 => long 타입 변수 저장인 경우, 'L'을 리터럴 뒤에 붙여야 함)
1-2. 실수 자료형
- 실수를 저장하는 자료형
- float(단정도 실수타입), double (배정밀도 실수타입이 보다 정확하게 표현 가능)
(기본 : double 타입 사용 => float 타입 변수 저장인 경우, 'F'을 리터럴 뒤에 붙여야 함)
1-3. 문자 자료형
- 유니코드를 저장하는 자료형(음수값 표현 X)
(하나의 문자를 작은 따옴표(')로 감싼 문자리터럴은 유니코드로 변환되어 저장)
- 유니코드 값을 저장하며 문자를 출력한다.
문자 인코딩(encoding) : 문자를 정해진 코드값으로 변환
문자 디코딩(decoding) : 코드값을 다시 문자로 변환
1-4. 논리 자료형
- 참과 거짓을 의미하는 true와 false를 저장하는 자료형
<참고> 진법
* 16진수 -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 16진수는 숫자 앞에 0X, 0x 붙여준다.
* 10진수 - 0, 1, 2, 3, 4, 5, 6, 7, 8, 9
* 8진수 - 0, 1, 2, 3, 4, 5, 6, 7 >>>>> 8진수 숫자 앞에 0 붙여준다
* 2진수 - 0, 1
2. 참조자료형 : 변수가 객체의 주소를 저장하는 타입
2-1. String 타입
- 큰 따옴표(")로 감싼 문자열을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
※ 참조타입에는 크게 배열, 열거, 클래스, 인터페이스가 있다.
참조타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여 자세히 알아보자!!
▼▼▼▼
[개-발/JAVA] - JAVA 5. 참조타입과 참조변수, new 연산자